타인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많이 주거나
심지어 타인에게 피해를 많이 주는 사람들이라고 해서
친구가 꼭 없는 것은 아니다.
또라이 수준이 아니라면
유유상종인 친구들은 있게 마련이니까요.
교묘한 사회기술이 없더라도
외모지상주의, 황금만능주의,
사회적 권력 등을 갖춘 사람은
인기를 끌기 마련입니다.
사회성이 부족하다라는 말은
완곡표현이 되기도 합니다.
감정노동이 미숙하다,
군기에 맞춰 주지 않는다,
상사의 비위를 맞추지 못한다 등,
타인의 비위를 맞추고 이득을 얻거나
불이익을 최소화하는 처세술의
완곡표현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사회성이 좋다는 소리를 듣고
집단 내에 받아들여지려면
그 사회 전반의 주된 논리와 가치체계,
이념을 잘 받아들이고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기타 > 내 삶의 양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주의에서 무조건 필요한 것은 바로 돈 (1) | 2015.09.22 |
---|---|
밤샘을 하게되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2) | 2015.09.17 |
구부정한 할미꽃 (1) | 2015.09.15 |
각자의 출근길 (3) | 2015.09.12 |
호박은 보석이지만 광물은 아닙니다. (0) | 2015.09.10 |
인형뽑기는 크레인 게임입니다 (4) | 2015.09.08 |
형제는 타인이라는 속담이 있답니다. (0) | 2015.09.05 |
비빔밥에 관련된 재밌는 일화 (2) | 2015.09.03 |
우리가 알고있는 직박구리 (1) | 2015.09.01 |
나무늘보는 무능한 것은 아닙니다. (2) | 2015.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