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내 삶의 양식

왜 회식 때 우리나라는 술을 강요하는 것일까요?


이유는 여러가지인데

첫 번째로는 단결이 안된다는 것입니다.

회식에서 남들 다 마시는데 누구는 빠진다면 

나 하나쯤은 어때라며 단합, 단결이 안되고 

특혜의혹, 즉 누구는 누구빽으로 술 마신다 라는

이유 때문에 단결이 안된다며 내부 불화가 일어난다고 합니다.



그런데, 절대로 윗사람에게는 강요하지 못합니다. 

과장이 자기 밑의 주임은 울상을 짓고

화장실에 가서 토할 만큼 먹일 수 있어도 

절대 차장님에게는 손대지 못합니다. 

차장이 과장은 반 죽여놓을 만큼 

먹일 수 있어도 절대 부장님에게는 먹이지 못합니다.

먹이사슬인가 봅니다?



보통 속내가 드러날 때가 있는데, 

단순히 내가 마시는데 

다른 사람이 마시고 있지 않으면 

왠지 어색한 것을 

아랫사람이 반항하는 것 같다고 

덮어씌우는 걸로 봐야 합니다.

그냥 혼자 밥 먹기, 혼자 고기 구워먹기 등과 

별 차이가 없는 행위지만 

혼자서 술을 마시는 행위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문화적 습관 때문에 

남들에게 술을 강요하는 것이 문제입니다.



좋은 사람은 술버릇이 좋고, 나쁜 사람은 나쁘다고 

생각해서 억지로 강요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형적인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로 

애초에 술을 안마시면 술버릇이 안나오니 

술버릇이 나쁘고 좋고도 없는데 말이죠. 

담배 안피는 사람이 길빵 할 수 없는 거랑 

같은 이치입니다.

이래서 직장인들의 적은 회식인가 봅니다.